학교다닐때 만해한용운 님에 대한 내용을 배웠는데 나이가 들면서 기억이 잘 안납니다.
같이 걸었던 일행들은 시도 다 기억하던데 어쩜 나는 기억이 안날까?
한용운의 심우장이라는 곳이 있다해서 같이 따라가 방문해봤습니다.
자아를 찾아 떠난 집, 한용운의 '심우장' 이야기
서울 성북구의 조용한 골목길을 걷다 보면, 마치 시간 속에 멈춰 있는 듯한 고즈넉한 한옥 한 채를 만나게 된다.
이곳은 바로 일제강점기 대표적인 독립운동가이자 승려, 시인으로 널리 알려진 만해 한용운 선생이 말년에 머물렀던 곳, '심우장(尋牛莊)'이다.
'심우장'이라는 이름부터 범상치 않다.
이 이름은 불교의 수행 단계를 상징하는 '십우도(十牛圖)' 중 첫 번째 단계인 '심우(尋牛)', 즉 '소를 찾는다'에서 따왔다.
여기서 소는 인간의 본성과 진리를 의미하며, 이는 곧 자아를 찾아가는 구도의 여정을 의미한다.
한용운 선생은 이 집을 단순한 거처가 아닌, 진리를 추구하는 수행의 공간으로 삼고자 했던 것이다.
심우장은 1933년 한용운 선생이 직접 설계하여 지은 한옥으로, 겉보기에 소박하지만 깊은 상징을 지니고 있다.
가장 눈에 띄는 특징은 집이 북향으로 지어졌다는 점이다.
일반적으로 따뜻한 햇볕을 받기 위해 남향으로 짓는 것이 일반적이던 시기에, 그는 남쪽에 위치한 조선총독부를 향하지 않기 위해 의도적으로 북향으로 집을 지었다.
이 단호한 선택에는 일제에 대한 저항의 의지와 민족의 자존심을 지키고자 하는 의도가 담겨 있다.
심우장은 조용하고 단정한 구조를 갖추고 있으며, 넓지 않은 마당과 소박한 연못, 작은 정원이 함께 어우러져 고요한 분위기를 자아낸다.
이 공간 안에서 한용운은 시를 쓰고 사상을 정리하며, 조국의 독립을 염원했다.
대표 시집 《님의 침묵》 이후에도 그는 이곳에서 창작과 사색을 멈추지 않았다.
현재 심우장은 서울시 민속문화재 제3호로 지정되어 보존되고 있으며, 시민들에게 공개되어 있다.
내부는 제한적으로 개방되지만, 외부와 정원은 자유롭게 둘러볼 수 있어 많은 이들이 한용운의 정신을 기리며 방문하고 있다.
심우장을 방문하면 단순한 집 이상의 감동을 느낄 수 있다.
그 안에는 일제 강점기라는 혹독한 시대를 살아내며 자아를 지키고자 했던 한 인물의 고뇌와 결단, 그리고 끝없는 자유에 대한 열망이 고스란히 남아 있다.
진정한 저항은 외침이 아닌, 자신만의 방식으로 묵묵히 지켜낸 믿음에서 시작된다는 것을, 심우장은 말없이 보여주고 있다.